매년 여름이 되면 한반도에는 어김없이 장마가 찾아옵니다. 장마는 짧게는 몇 주, 길게는 한 달 이상 이어지며 많은 비를 내립니다. 많은 사람들이 장마가 왜 매년 반복되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오늘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장마란 무엇이며, 어떻게 발생하는가
장마는 여름철 한반도와 동아시아 지역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계절 현상입니다. 이 시기에는 장마전선이라는 정체전선이 한반도 부근에 머물면서 지속적인 비를 내리게 됩니다.
장마전선은 남쪽의 따뜻한 북태평양 고기압과 북쪽의 차가운 오호츠크해 고기압이 만나는 경계에서 형성됩니다. 이 두 기단이 서로 힘을 겨루며, 그 사이에 습하고 불안정한 공기가 모여 장마전선을 만듭니다.
- 장마전선: 남쪽의 북태평양 고기압과 북쪽의 오호츠크해 고기압의 경계에서 형성
- 정체전선: 한 곳에 머물며 오랜 기간 비를 내리는 전선
- 수증기 공급: 바다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대기 중으로 이동해 강수 유발
- 상승운동: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며 구름을 만들고 비를 내림
장마는 한반도뿐 아니라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비슷하게 나타나며, 일본에서는 바이우, 중국에서는 메이유로 불립니다. 이처럼 장마는 동아시아 몬순 기후의 대표적인 현상입니다.
장마와 관련된 주요 자연 현상
- 북태평양 고기압: 따뜻하고 습한 공기를 공급
- 오호츠크해 고기압: 차갑고 습한 공기를 공급
- 몬순(계절풍): 대륙과 해양의 온도 차이로 발생하는 계절풍
- 수증기 이동: 해양에서 대륙으로 이동하는 대규모 수증기
매년 장마가 반복되는 이유
장마가 매년 반복되는 이유는 동아시아 몬순 시스템과 기단의 계절적 이동 때문입니다.
여름이 되면 아시아 대륙은 빠르게 가열되어 저기압이 형성되고, 해양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 고기압이 만들어집니다. 이로 인해 대기 중에서 기압의 차이가 발생하고, 두 기단이 만나는 경계에서 장마전선이 만들어집니다.
- 계절 변화: 여름철 대륙과 해양의 온도 차이로 기압 차 발생
- 기단 이동: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해 고기압의 계절적 이동
- 장마전선 형성: 두 기단이 만나며 장마전선이 한반도 부근에 머무름
- 수증기와 상승운동: 해양에서 공급된 수증기가 대기 중에서 상승하며 강수 유발
이러한 대기 시스템은 매년 계절의 변화에 따라 반복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장마도 해마다 비슷한 시기에 발생합니다. 대기 내부의 불안정성과 전 세계적인 대기, 해양 현상(엘니뇨, 북극 기상, 서태평양 온도 등)도 장마의 강도와 기간에 영향을 미칩니다.
장마 발생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
요인 | 영향 |
---|---|
북태평양 고기압 | 따뜻하고 습한 공기 공급, 장마전선 형성 |
오호츠크해 고기압 | 차갑고 습한 공기 공급, 장마전선 북쪽 경계 |
동아시아 몬순 | 대륙과 해양의 온도 차이로 계절풍 발생 |
대기 불안정성 | 강수량과 장마 기간의 변동성 증가 |
기후 변화 | 수증기량 증가, 장마 패턴 변화 |
장마의 변동성과 다양한 영향 요소
장마는 매년 비슷한 시기에 발생하지만, 그 강도와 기간은 해마다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는 대기 내부의 불안정성과 다양한 전 지구적 기상 현상 때문입니다.
북극의 기상 변화, 엘니뇨, 북대서양 진동, 서태평양 온도 등은 장마전선의 위치와 강수량에 영향을 미칩니다. 한 해는 장마가 길고 강수량이 많았다가, 다음 해에는 짧고 약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대기 불안정성: 대기 중 기류 변화로 강수량과 장마 기간이 달라짐
- 기후 변화: 온실가스 증가로 대기 온도와 수증기량이 늘어나 장마 패턴 변화
- 엘니뇨, 라니냐: 해수면 온도 변화로 전 세계 기상에 영향
- 북극 기상: 북극의 온난화 현상이 장마에 영향
- 에어로졸: 대기 중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이 강수량에 영향
이처럼 장마는 단순히 한두 가지 원인으로 설명되지 않으며, 다양한 자연 현상과 인간 활동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동아시아 몬순 시스템은 전 세계에서 가장 변동성이 큰 기후 시스템 중 하나로, 해마다 장마의 양상이 달라지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장마의 변동성 이해를 돕는 표
연도 | 장마 기간 | 특징 |
---|---|---|
2020년 | 54일 | 역대 최장, 강수량 많음 |
2021년 | 17일 | 짧은 장마, 강수량 적음 |
2022년 | 약 20일 | 평년 수준, 지역별 편차 큼 |
결론
장마는 한반도와 동아시아 지역에서 매년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계절 현상으로,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해 고기압의 상호작용, 동아시아 몬순 시스템, 그리고 대기 내부의 불안정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장마전선이 형성되어 한반도 부근에 머무르면서 많은 비를 내리게 되며, 그 강도와 기간은 해마다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와 온실가스 증가, 전 세계적 대기 현상 등도 장마의 양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